문제 링크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 ~ 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today는 "YYYY.MM.DD" 형태로 오늘 날짜를 나타냅니다.
  • 1 ≤ terms의 길이 ≤ 20
    • terms의 원소는 "약관 종류 유효기간" 형태의 약관 종류와 유효기간을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약관 종류는 A~Z중 알파벳 대문자 하나이며, terms 배열에서 약관 종류는 중복되지 않습니다.
    • 유효기간은 개인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달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며,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1 ≤ privacies의 길이 ≤ 100
    • privacies[i]는 i+1번 개인정보의 수집 일자와 약관 종류를 나타냅니다.
    • privacies의 원소는 "날짜 약관 종류" 형태의 날짜와 약관 종류를 공백 하나로 구분한 문자열입니다.
    • 날짜는 "YYYY.MM.DD" 형태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날짜를 나타내며, today 이전의 날짜만 주어집니다.
    • privacies의 약관 종류는 항상 terms에 나타난 약관 종류만 주어집니다.
  • today와 privacies에 등장하는 날짜의 YYYY는 연도, MM은 월, DD는 일을 나타내며 점(.)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2000 ≤ YYYY ≤ 2022
    • 1 ≤ MM ≤ 12
    • MM이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1 ≤ DD ≤ 28
    • DD가 한 자릿수인 경우 앞에 0이 붙습니다.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문제 풀이

 

[구현방식 생각]

약관 종류별 유효기간을 개인정보 수집 일자에서 계산해서 오늘 일자와 비교한다.

개인정보 수집일자 + 약관 유효기간 > 오늘 : 보관 가능한 개인정보

개인정보 수집일자 + 약관 유효기간 < 오늘 :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수집된 개인정보 중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를 반환해야 하므로,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를 순회하면서 각 정보의 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걸로 구현했다.

 

[고려사항]

privacies의 최대 길이는 100이므로 한 원소씩 확인해도 시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는 무조건 하나 이상 존재하므로 result가 null인 경우는 없기 때문에 null 예외처리는 제외해도 된다.

또한 약관 종류로 주어진 약관만 privacies에 주어지므로 이에 대한 예외처리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파기될 약관 개수가 몇 개인지 모르기 때문에 정답 배열은 리스트로(ArrayList)로 초기화한다.

약관 종류는 String이기 때문에 유효기간 정보를 담을 자료구조는 Map으로 한다.

 

[풀이 과정]

  1. 오늘 일자(today), 약관 종류 배열(terms) 구현 용도에 맞게 세팅
    • 오늘 일자는 온점(.)을 구분자로 연, 월, 일로 변수에 저장
    • 약관 종류를 Key, 유효기간을 Value로 해서 Map에 저장
  2. privacies 순회하면서 약관 유효기간 계산
    • 날짜와 약관 종류를 공백을 구분자로 분리하여 저장
    • Map에서 해당하는 약관 종류의 유효기간 가져와서 달(month)에 더함
      • 계산한 달이 12월을 넘어가는 경우 연도에 1 더하고 달에 12 빼기
    • 계산한 유효 일자랑 현재 일자 비교
      • 파기되지 않는 경우(=보관 가능한 경우)를 체크
      •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정답 리스트에 추가
  3. int[]을 반환해야하므로 List 순회해서 answer 배열에 담아서 반환

 

[구현시 고려한 사항]

문자열을 구분할때 split()을 사용할지, StringTokenizer를 사용할지 고민했는데,

자바 공식 문서를 확인해보니 StringTokenizer는 레거시 클래스로,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고 있기때문에  spilt 함수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StringTokenizer is a legacy class that is retained for compatibility reasons although its use is discouraged in new code. It is recommended that anyone seeking this functionality use the split method of String or the java.util.regex package instead.

그래서 날짜를 년,월,일로 구분할때나 약관 정보를 가져올때 split() 함수를 사용했다.

 

💡 spilt() 주의사항

split()은 정규표현식으로 문자열을 구분하기 때문에 온점(.)을 구분자로 구분하려고 한다면 온점 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줘야한다. 

이때 Java에서 역슬래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앞에 역슬래시(\)를 붙여줘야한다. (\\)

즉, split("\\.")으로 사용해야 온점을 구분자로 문자열을 분리할 수 있다.

 

* 정규표현식에서 온점(.)은 임의의 한 문자를 뜻하기 때문에 온점(.)만 구분자로 넣는 경우 (즉,  split(".")), 그냥 빈 배열이 반환된다.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int[] solution(String today, String[] terms, String[] privacies) {
        // 오늘 일자 Y,M,D로 분리
        String[] todayInfo = today.split("\\.");
        int todayY = Integer.parseInt(todayInfo[0]);
        int todayM = Integer.parseInt(todayInfo[1]);
        int todayD = Integer.parseInt(todayInfo[2]);

        // 약관 종류
        Map<String, Integer> termsMap = new HashMap<>();
        for (String el : terms) {
            String[] temp = el.split(" ");
            termsMap.put(temp[0], Integer.parseInt(temp[1]));
        }

        // privacies 순회하면서 약관 유효기간 계산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int collectionY, collectionM, collectionD;
        for (int i=0; i<privacies.length; i++) {
            String[] privacyInfo = privacies[i].split(" ");
            String[] collectionDate = privacyInfo[0].split("\\.");
            collectionY = Integer.parseInt(collectionDate[0]);
            collectionM = Integer.parseInt(collectionDate[1]);
            collectionD = Integer.parseInt(collectionDate[2]);

            String typeOfTerms = privacyInfo[1];

            collectionM += termsMap.get(typeOfTerms);
            while (collectionM > 12) { // 계산한 달이 12월을 넘어가는 경우 연도에 1추가
                collectionM -= 12;
                collectionY += 1;
            }

            // 계산한 유효 일자랑 현재 일자 비교 (파기되지 않는 경우(=보관 가능한 경우)를 체크)
            if (collectionY > todayY) {
                continue;
            } else if (collectionY == todayY) {
                if (collectionM > todayM) {
                    continue;
                } else if (collectionM == todayM) {
                    if (collectionD > todayD) continue;
                }
            }
           list.add(i+1);
        }

        int[] answer = new int[list.size()];
        int idx = 0;
        for (int index : list) {
            answer[idx++] = index;
        }
        return answer;
    }
}

+ Recent posts